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git을 통해 버전관리를 해보자


이 포스팅을 통해서 git을 설치하고 git 필수 명령어들을 익혔다면


이제 소셜코딩 github의 세계에 들어갈 준비를 완료한셈입니다.


github에 저장소를 만들고 사용하기 전에 몇가지만 더 배워보기로 해요.


원격저장소와 관련된 명령어를 알아볼거예요.



로컬에서 아무리 commit을 해도 변경한 내용은 내 로컬저장소, 그러니깐 내 컴퓨터에만 있습니다.


다른 사람들과 팀프로젝트로 git을 사용한다면 변경한 내용을 원격 저장소에도 반영시켜야 합니다.



대게 팀프로젝트시에는 원격에 저장소를 두고,


이곳에 모두가 커밋한 소스코드를 보관하고, 팀원들이 이 곳의 소스코드를 받아가는거죠.




git remote



원격지 어디에 저장소가 있는지 저장소의 주소를 git에게 알려줘야하겠죠?


원격지의 저장소를 추가합니다.


git remote add origin 원격서버주소


origin 이라는 이름의 원격 저장소를 등록하는 명령어 입니다.


git remote


명령어로 현재 등록되어 있는 원격 저장소 목록을 알수 있고


git remote rm 원격저장소명



이렇게 해당 이름의 저장소를 삭제합니다.




git push


변경 내용을 원격저장소에 올려봅시다.



git push origin 브랜치명

git push origin master


origin 이름을 가지고 있는 원격저장소의 해당 브랜치에 변경 파일을 올립니다.


대게 git push origin master 이렇게 입력하면 끝!




git pull



로컬저장소를 원격 저장소에 맞춰 최신으로 업데이트 하려면

git pull


명령어로 가능합니다.


원격저장소의 마지막 커밋된 최신 파일이 로컬에 적용됩니다.

자동으로 내용이 병합됩니다.





위 명령어만 알면 github을 사용하기 위한 준비끝-!


자 이제 준비운동이 끝났으니 github의 세계에 빠져봅시다.


먼저 github에 SSH키를 통해 인증을 받을 수 있도록 ssh 키를 생성해야 합니다.


생성한 키 정보를 github에 저장하면, 앞으로는 이 키를 통해서 github에 접속하게 됩니다.



키를 생성하는 방법은 깃헙에 아주 자세히 나와있습니다.


https://help.github.com/articles/generating-ssh-keys



순서대로 차근차근 따라하시면 되요.




위 가이드대로 키를 만들고 SSH key를 등록도 했다면 github에서 repository를 만들어 봅시다.


github에 가입하고 새로운 레파지토리 만들기 메뉴를 클릭하시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만나게 됩니다.




github의 무료 사용자는 public한(전체공개) 레파지토리만 만들 수 있고,


유료 결제를 하면 private하게 쓸 수 있는 레파지토리를 만들 수 있습니다.


레파지토리 이름을 적고 공개 여부를 설정하면 아주 쉽게 새로운 레파지토리를 만들 수 있습니다.



레파지토리가 만들어졌다면 github은 친절하게도 아래와 같은 화면으로


우리가 다음에 어떠한 명령어를 사용하면 되는지 알려줍니다.


여기서 우리는 좀전에 만든 SSH 키를 이용해서 접속을 할것이기 때문에


HTTP 말고 SSH를 클릭해보세요.


그럼 SSH용으로 주소가 바뀝니다.


HTTP 주소로 git remote를 등록하고 git push를 하게 되면,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묻게 되고,


SSH 주소로 git remote를 등록하고 git push를 하게 되면, ssh키의 비밀번호를 묻습니다.





만약 새로운 레파지토리를 생성해야 한다면 아래와 같이


touch README.md
git init
git add README.md
git commit -m "first commit"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사용자명/저장소이름.git
git push -u origin master



이미 생성된 레파지토리가 있다면


위의 코드에서 마지막 2줄만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사용자명/저장소이름.git
git push -u origin master



입력하면 됩니다.



이렇게 따라하게되면


README.md 라는 파일을 생성하고,


해당 폴더에서 git init 명령어로 git을 준비하고,


방금 만든 README.md 파일을 스테이지에 추가한 뒤


first commit이라는 커밋메시지와 함께 커밋을 하고,


우리가 방금 만든 github 저장소의 경로를 저장한뒤


원격으로 접속하여 커밋된 내용을 보내는 것입니다.





git 커맨드라인을 이용해서 따라해보세요.


지난 포스팅에서 함께 실습했던 명령어들이니 어려움없이 진행하실 수 있을거예요.






파일이 github으로 저장이 잘 완료되었다면 위와 같은 화면을 보실 수 있습니다.


그런데 commit을 한 사람의 이름이 표시되는게 본인의 계정이 아니라고요?


그렇다면 git 설정에서 이름과 이메일주소를 설정하지 않으셔서 그렇습니다.



git config --global user.name "이름"
git config --global user.email "이메일주소"



명령어로 정보를 입력하고 commit, push를 하시면 등록한 계정으로 보일거예요.



휴 이제 드디어 github의 세계를 체험해보았습니다.


여러분은 이제 github을 통해서 push와 pull 명령어를 통해 변경된 소스를 보내거나 가져와서 프로젝트를 하시면 됩니다.


즐코딩하세요~~




참고 :

http://net.tutsplus.com/tutorials/other/easy-version-control-with-git/

728x90
반응형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4/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